조슈아 레드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슈아 레드먼은 미국의 재즈 색소폰 연주자이다. 1969년 캘리포니아 버클리에서 재즈 연주자인 듀이 레드먼의 아들로 태어나 클라리넷을 시작으로 테너 색소폰으로 전향했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사회학을 전공하고 1991년 셀로니어스 몽크 국제 재즈 색소폰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워너 브라더스와 계약했다. 팻 메시니, 브래드 멜다우 등과 협업하며 《조슈아 레드먼》, 《WISH》, 《MoodSwing》 등 여러 앨범을 발표했고, 롤링 스톤스 공연에 게스트로 참여하기도 했다. 2000년에는 SFJAZZ의 예술 감독을 맡았으며, 2009년에는 제임스 팜 밴드를 결성하여 활동했다. 그래미상 후보에 여러 번 올랐으며, 다운비트 평론가 투표에서 테너 색소폰 연주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버클리 (캘리포니아주) 출신 - 캐슬린 케네디
캐슬린 케네디는 앰블린 엔터테인먼트 공동 설립과 스티븐 스필버그와의 협업, 케네디/마셜 컴퍼니 설립, 그리고 현재 루카스필름 사장으로서 스타워즈 시리즈 제작을 총괄하는 미국의 영화 프로듀서이다. - 버클리 (캘리포니아주) 출신 - 마이크 던트
마이크 던트는 1972년생 미국 뮤지션이자 그린 데이의 베이시스트로, 빌리 조 암스트롱과 함께 밴드 활동을 시작하여 그린 데이 외 다양한 사이드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펜더 프리시전 베이스를 주로 사용하고 스콰이어에서 그의 시그니처 모델이 출시되기도 했다. - 미국의 재즈 색소폰 연주자 - 스티브 콜먼
스티브 콜먼은 미국의 색소폰 연주자이자 작곡가로, 루프 구조 내 즉흥 연주 개념을 개발하고 M-베이스 운동을 이끌었으며, 아프리카 디아스포라 문화와 음악적 연관성을 탐구하며 2014년 맥아더 펠로우십을 수상했다. - 미국의 재즈 색소폰 연주자 - 데이비드 샌본
미국의 알토 색소폰 연주자 데이비드 샌본은 소아마비 재활 치료로 색소폰을 시작해 블루스 거장들과 연주하며 음악 경력을 쌓았고, 폴 버터필드 블루스 밴드 활동, 유명 아티스트 협업, 솔로 데뷔, 다양한 장르 탐구, 그래미상 수상, 방송 활동 등 다방면으로 활동하다 전립선암으로 사망했다. - 아프리카계 미국인 음악가 - 지미 헨드릭스
지미 헨드릭스는 1960년대 후반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를 결성하여 혁신적인 앨범을 발표하고 파격적인 기타 연주 스타일을 선보이며 록 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기타리스트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 - 아프리카계 미국인 음악가 - 마빈 게이
마빈 게이는 소울, R&B, 펑크 등 다양한 장르를 소화하고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음악으로 흑인 음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가수이자 작곡가, 배우이다.
조슈아 레드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출생 이름 | 조슈아 레드먼 셰드로프 |
출생일 | 1969년 2월 1일 |
출생지 | 캘리포니아주 버클리 |
![]() | |
직업 | 음악가, 작곡가 |
악기 | 테너, 알토 및 소프라노 색소폰, 건반 |
장르 | 재즈 |
레이블 | 블루 노트 레코드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관련 활동 | |
관련 음악가 | 브래드 멜다우, 더 배드 플러스, 소울라이브, 엄프리스 맥기, 제임스 팜 |
2. 생애 및 경력
조슈아 레드먼은 듀이 레드먼과 르네 셰드로프 사이에서 태어난 재즈 색소폰 연주자이다.[1] 어릴 적부터 다양한 음악과 악기에 노출되었으며, 9세에 클라리넷을 시작하여 1년 후 테너 색소폰으로 바꾸었다.[4] 그는 존 콜트레인, 오넷 콜먼, 캐논볼 애덜리, 아버지 듀이 레드먼 등에게서 음악적 영향을 받았다.[4]
하버드 대학교에서 사회학을 전공하고 최우등으로 졸업한 후, 예일 로스쿨 진학을 잠시 미루고 뉴욕으로 이주하여 재즈계에 뛰어들었다.[1] 1991년 테일로니어스 몽크 국제 재즈 색소폰 콩쿠르에서 우승하면서 본격적인 음악 경력을 시작했다.[1] 워너 브라더스 레코드와 계약을 맺고 1993년 첫 앨범을 발매하여 그래미상 후보에 올랐다.[1]
이후 팻 메세니, 찰리 헤이든, 빌리 히긴스 등과 함께한 《Wish》(1993), 브래드 멜다우, 크리스찬 맥브라이드, 브라이언 블레이드와 함께한 《MoodSwing》(1994) 등을 발표하며 실력을 인정받았다. 1990년대 후반에는 롤링 스톤스 공연에 게스트로 참여하기도 했다.[19]
2000년대에는 '일래스틱 밴드', 'YAYA3' 등의 프로젝트를 통해 펑키한 음악을 시도했고, SFJAZZ의 예술 감독으로 활동했다.[17][20] 2007년에는 첫 피아노 없는 트리오 레코드 《Back East》를 발매했고, 2009년에는 《Compass》를 발매했다.
2010년대 이후 '제임스 팜(James Farm)' 결성, 더 배드 플러스와의 협연 등 다양한 활동을 이어갔다. 2020년에는 26년 만에 멜다우, 맥브라이드, 블레이드와 쿼텟을 재결성하여 앨범을 발표했다.[23]
레드먼은 자신의 프로젝트 외에도 조이 알렉산더, 브라이언 블레이드, 레이 브라운, 데이브 브루벡, 칙 코리아, 데이브 매튜스 밴드, 잭 드조네트, 빌 프리셀, 애런 골드버그, 래리 골딩스, 찰리 헤이든, 허비 행콕, 로이 하그로브, 로이 헤인즈, 빌리 히긴스, 밀트 잭슨, 엘빈 존스, 퀸시 존스, 빅 대디 케인, 제프 키저, B.B. 킹, 링컨 센터 재즈 오케스트라, 레티에르 레이트 & 오케스트라 럼필레즈, DJ 로직, 조 로바노, 요요마, 브랜퍼드 마살리스, 크리스찬 맥브라이드, 존 메데스키, 브래드 멜다우, 팻 메스니, 마커스 밀러, 폴 모션, 메셸 은데게오첼로, 레온 파커, 니콜라스 페이턴, 존 프사타스, 사이먼 래틀, 듀이 레드먼, 다이앤 리브스, 멜빈 라인, 롤링 스톤스, 더 루츠, 커트 로젠윈클, 존 스코필드, 소울리브, 스트링 치즈 인시던트, 클라크 테리, 투츠 틸레망, 트론헤임 재즈 오케스트라, 마크 터너, 맥코이 타이너, 움프리스 맥기, US3, 부게 웨셀토프트, 세다 월튼, 스티비 원더, 샘 야헬 등 다양한 음악가들과 협업해왔다.
그의 스튜디오 앨범은 다음과 같다:
제목 | 세부 정보 | 최고 차트 순위 | ||
---|---|---|---|---|
미국 히트시커스[12] | 미국 재즈[13] | 미국 전통 재즈[14] | ||
MoodSwing | 20 | 7 | 2 | |
Passage of Time | — | 6 | 4 | |
Come What May | 12 | 2 | 2 | |
2. 1. 초기 생애 (1969-1991)
조슈아 레드먼은 1969년 2월 1일 캘리포니아주 버클리에서 재즈 색소폰 연주자 듀이 레드먼과 무용가이자 사서인 르네 셰드로프 사이에서 태어났다.[1] 그는 어머니가 남인도 무용을 공부했던 버클리의 세계 음악 센터에서 다양한 종류의 음악을 접했다. 초기 음악 및 즉흥 연주 수업 중 일부는 가믈란 연주자 조디 다이아몬드와 함께하는 리코더 수업이었다. 9세에 클라리넷을 연주하기 시작하여 1년 후 테너 색소폰으로 전향했다. 레드먼은 존 콜트레인, 오넷 콜먼, 캐논볼 애덜리, 아버지 듀이 레드먼, 비틀즈, 아레사 프랭클린, 템테이션스, 얼스, 윈드 앤 파이어, 프린스, 폴리스, 레드 제플린에게서 음악적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4]1986년 버클리 고등학교를 졸업하고,[5] 오클랜드 레이니 칼리지에서 음악 교수를 지낸 에드 켈리의 잼 세션에 참석해 색소폰 연주자 로버트 스튜어트와 함께 공연했다.[6]
1991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사회 연구 학위를 최우등으로 졸업하고 파이 베타 카파 협회 회원이 되었다.
2. 2. 음악 경력의 시작 (1991-1993)
1991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사회 연구 학위를 최우등으로 졸업하고 파이 베타 카파 회원이 된 조슈아 레드먼은 예일 로스쿨 입학을 1년 연기했다. 그는 친구들이 있는 뉴욕으로 이주하여 함께 살면서 자연스럽게 뉴욕 재즈계에 뛰어들었다.[1] 브래드 멜다우, 피터 마틴, 마크 터너, 피터 번스타인, 로이 하그로브, 크리스찬 맥브라이드 등 여러 재즈 음악가들과 정기적으로 잼 세션 및 공연을 가졌다.[1]같은 해, 레드먼은 테일로니어스 몽크 국제 재즈 색소폰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음악 경력에 집중하기 시작했다.[1] 그는 워너 브라더스 레코드와 계약을 맺고 1993년 봄에 데뷔 앨범 《Joshua Redman》을 발매했으며, 이 앨범으로 첫 그래미상 후보에 올랐다.[1]
2. 3. 초기 대표작 (1993-1999)
1993년, 조슈아 레드먼은 팻 메시니, 찰리 헤이든, 빌리 히긴스와 같은 재즈 거장들과 함께 두 번째 앨범 《Wish》를 발매했다.[17] 이 앨범은 빌보드 '톱 재즈 앨범'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다.[13] 1994년에는 브래드 멜다우, 크리스찬 맥브라이드, 브라이언 블레이드 등 젊은 연주자들과 쿼텟을 결성하여 《MoodSwing》을 발표했다.[17]1996년에는 《Freedom in the Groove》를 발매했다. 1998년에는 다양한 음악적 스타일을 담은 《Timeless Tales (For Changing Times)》를 발매했다. 같은 해, 영화 '블루스 브라더스 2000'에 출연하여 "루이지애나 게이터 보이즈"의 멤버로 "How Blue Can You Get?"과 "뉴올리언스"를 연주했다. 1997년에는 롤링 스톤스의 세인트루이스 공연에 게스트로 참여하여 「우리를 기다리는 친구」에서 색소폰 솔로를 연주했으며, 그 모습은 1998년에 발매된 영상 작품 『브릿지 투 바빌론 투어』에 수록되었다.[19]
2. 4. 다양한 음악적 시도 (2000년대)
2000년대에 들어서 조슈아 레드먼은 기존 쿼텟 외에도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선보였다. 키보디스트 샘 야헬, 드러머 브라이언 블레이드와 함께 '일래스틱 밴드', 'YAYA3' 등의 프로젝트를 통해 펑키하고 실험적인 음악을 추구했다.[17]2000년에는 앨범 《Beyond》를 발매했고,[13] 2001년에는 《Passage of Time》을 발매했다.[13] 2002년에는 '일래스틱 밴드' 명의로 앨범 《Elastic》을 발매했으며,[13] 2005년에는 '조슈아 레드먼 일래스틱 밴드' 명의로 앨범 《Momentum》을 발매했다.[13]
2000년, 레드먼은 비영리 재즈 단체인 SFJAZZ의 봄 시즌 예술 감독으로 임명되었다.[20] SFJAZZ 컬렉티브는 레드먼과 SFJAZZ 집행 이사 랜들 클라인이 함께 창립한 단체로, 멤버들의 창의성과 작곡에 중점을 둔 앙상블 활동을 펼쳤다.[20]
2007년 3월, 레드먼은 새로운 프로젝트에 집중하기 위해 SFJAZZ 예술 감독직과 SFJAZZ 컬렉티브 활동을 잠시 중단한다고 발표했다.[20] 2007년 4월, 노네수에서 레드먼의 첫 피아노 없는 트리오 레코드인 《Back East》를 발매했다. 이 앨범에는 래리 그레나디어 & 알리 잭슨, 크리스찬 맥브라이드 & 브라이언 블레이드, 르우벤 로저스 & 에릭 할랜드 등 세 개의 베이스 및 드럼 리듬 섹션과 세 명의 게스트 색소폰 연주자(크리스 치크, 조 로바노, 듀이 레드먼)이 참여했다. 2009년 1월에 발매된 《Compass》는 트리오 전통을 이어가면서, 색소폰, 베이스 2대, 드러머 2명으로 구성된 더블 트리오 구성의 트랙도 포함했다.[13]
2. 5. 최근 활동 (2010년대-현재)
2011년, 애런 파크스, 맷 펜먼, 에릭 할랜드와 함께 새로운 밴드 '제임스 팜(James Farm)'을 결성, 동명의 앨범을 발매했다.[22] 2013년에는 브래드 멜다우 프로듀싱의 《Walking Shadows》를 발매했고, 2015년에는 더 배드 플러스와 협연한 《The Bad Plus Joshua Redman》을 발매했다. 2016년에는 브래드 멜다우와 듀오 앨범 《Nearness》를 발매했다. 2018년에는 론 마일스, 스콧 콜리, 브라이언 블레이드가 참여한 《Still Dreaming》을 발매했으며, 2019년에는 브루클린 라이더와 협연한 《Sun on Sand》를 발매했다.2020년에는 약 26년 만에 멜다우, 크리스찬 맥브라이드, 블레이드와 쿼텟을 부활시켜 앨범 《RoundAgain》을 발표했고, 2022년에도 같은 라인업으로 앨범 《LongGone》을 발표했다.[23] 2023년에는 가브리엘 카바사와 함께 《Where Are We》를 발매하였다.
3. 수상 내역
상 | 연도 | 결과 | 부문 | 작품 | 참고 |
---|---|---|---|---|---|
다운비트 평론가 투표 | 1993 | 수상 | 테너 색소폰 연주자 | ||
1994 | 수상 | 올해의 재즈 아티스트 | |||
수상 | 올해의 앨범 | Wish | |||
2011 | 수상 | 테너 색소폰 | 본인 | ||
그래미상 | 1994 | 후보 | 최우수 재즈 기악 연주, 개인 또는 그룹 | Joshua Redman | |
1998 | 후보 | 최우수 재즈 기악 연주, 개인 또는 그룹 | Remembering Bud Powell | ||
2006 | 후보 | 최우수 컨템포러리 재즈 앨범 | Momentum | ||
2008 | 후보 | 최우수 재즈 기악 앨범, 개인 또는 그룹 | Back East | ||
2016 | 후보 | 최우수 즉흥 재즈 솔로 | "Friend or Foe" | ||
2017 | 후보 | 최우수 재즈 기악 앨범 | Nearness | ||
2019 | 후보 | 최우수 재즈 기악 앨범 | Still Dreaming | ||
2020 | 후보 | 최우수 재즈 기악 앨범 | Come What May | ||
2021 | 후보 | 최우수 즉흥 재즈 솔로 | "Moe Honk" | ||
후보 | 최우수 재즈 기악 앨범 | RoundAgain | |||
2023 | 후보 | 최우수 재즈 기악 앨범 | LongGone | ||
재즈타임스 | 1992 | 수상 | 최우수 신인 아티스트 | 본인 | |
Thelonious Monk International Jazz Competition | 1991 | 수상 | N/A | 본인 | [16] |
4. 음반 목록
조슈아 레드먼은 다양한 음반을 발매했다. 크게 스튜디오 앨범, 라이브 앨범, 그리고 참여 앨범으로 나눌 수 있다.
스튜디오 앨범으로는 1993년 데뷔 앨범 <<조슈아 레드먼>>과 <
라이브 앨범으로는 ''Captured Live!'', 트리오스 라이브, ''블루스 포 팻: 라이브 인 샌프란시스코(Blues for Pat: Live In San Francisco)'', ''스피릿 오브 더 모멘트 – 라이브 앳 더 빌리지 뱅가드(Spirit of the Moment – Live at the Village Vanguard)'' 등이 있다.
또한, 듀이 레드먼과 함께 ''Choices''를, 듀이 레드먼 피처링 앨범 ''African Venus''에 참여했다. 그 외에도 밥 타일 컬렉티브, 존 힉스, 엘빈 존스, 조 로바노, 폴 모티안, 밀트 잭슨, 크리스찬 맥브라이드, 라이오넬 햄튼, 조니 킹, 칙 코리아, 세다 월튼, 맥코이 타이너, 커트 로젠빈클, 샘 야헬, 브래드 멜다우, 트론헤임 재즈 오케스트라, 페렌츠 네메스 등의 앨범에 참여했다.
4. 1. 스튜디오 앨범
조슈아 레드먼은 다양한 스튜디오 앨범을 발매했다. 1993년 데뷔 앨범 <<조슈아 레드먼>>과 <
그는 ''제임스 팜''(James Farm), ''시티 포크''(City Folk)와 같은 공동 작업 앨범과 ''Yaya3'', ''Choices'', ''African Venus'' 등의 앨범에도 참여했다.
4. 1. 1. 리더
히트[12]US
재즈[13]US
전통
재즈[14]US
클래식[15]Joshua Redman — 40 3 — Wish — 6 1 — Freedom in the Groove 27 6 1 — Timeless Tales (For Changing Times) — 10 2 — Beyond 47 5 2 — Elastic — 16 4 — Back East — 12 5 — Compass 34 4 4 — Walking Shadows 16 4 3 — The Bad Plus Joshua Redman
(with 더 배드 플러스)13 8 5 — Nearness
(with 브래드 멜다우)19 6 5 — Still Dreaming
(featuring 론 마일스, 스콧 콜리 and 브라이언 블레이드)25 2 2 — Sun on Sand
(with 브루클린 라이더)— 16 10 9 RoundAgain
(with 브래드 멜다우, 크리스찬 맥브라이드 and 브라이언 블레이드)— 7 5 — LongGone
(with 브래드 멜다우, 크리스찬 맥브라이드 and 브라이언 블레이드)— 11 10 — Where Are We
(with 가브리엘 카바사)— — — —